컨텐츠 내용
- 수강신청
- 과정정보
[필수교육]진로 멘토링 상담 역량

과정소개
『진로 멘토링 상담 역량』 과정은 멘토가 멘티의 진로 고민을 단순히 ‘들어주는 상담자’에 머무르지 않고, 멘티가 스스로 ‘선택 가능한 사람’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돕는 질문 기반 진로상담 역량 강화 과정입니다.
과정은 진로가 막막한 백지 상태의 멘티를 대상으로, 자기탐색 → 직업 정보 탐색 → 심리 진단 도구 활용 → 직업 인식 개선 → 현실적 선택 근거 설계 → 설득력 강화 → 실행 전략까지 이어지는 단계적 구조를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특히 진로심리검사 활용, 임금정보 분석, 직업 선입견 해소, 유튜브 인터뷰 활용 등 현실적이고 실용적인 상담 기법을 함께 포함하고 있어, 멘토가 현장에서 보다 설득력 있게 멘티와 소통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또한 이 과정은 멘티의 내면에 접근하는 ‘질문-분석-설득’의 흐름을 중심으로, 멘토 자신이 멘티의 사고 구조를 이해하고 필요한 자료와 언어를 통해 스스로 답을 찾아가도록 지원하는 대화 중심형 진로멘토링 역량 훈련 프로그램입니다.
학습목표
진로 탐색 초기 멘티의 백지 상태에서 적절한 상담 접근과 질문 방법을 설계할 수 있다.
멘티의 자기이해, 진로심리검사 결과 해석, 직업정보 비교 및 선택 논리를 상담 대화 속에서 끌어낼 수 있다.
임금, 직업 선입견, 사회적 인식 등 다양한 현실 요소를 분석하고 상담에 반영하는 역량을 기를 수 있다.
멘티의 단기 목표와 장기 비전을 구분하여 설정하도록 유도하는 대화 전략을 익힐 수 있다.
멘티의 진로선택과 관련된 내적·외적 동기를 분석하고, 설득에 필요한 합리적 근거를 함께 탐색할 수 있다.
실제 사례(예: 유튜버 인터뷰) 등을 활용한 생생한 진로상담 장면을 통해 실전 대응력을 높일 수 있다.
멘티의 자기이해, 진로심리검사 결과 해석, 직업정보 비교 및 선택 논리를 상담 대화 속에서 끌어낼 수 있다.
임금, 직업 선입견, 사회적 인식 등 다양한 현실 요소를 분석하고 상담에 반영하는 역량을 기를 수 있다.
멘티의 단기 목표와 장기 비전을 구분하여 설정하도록 유도하는 대화 전략을 익힐 수 있다.
멘티의 진로선택과 관련된 내적·외적 동기를 분석하고, 설득에 필요한 합리적 근거를 함께 탐색할 수 있다.
실제 사례(예: 유튜버 인터뷰) 등을 활용한 생생한 진로상담 장면을 통해 실전 대응력을 높일 수 있다.
교육대상
2025년 참여 멘토
수료기준
평가기준 | 진도율 | 합산 점수 |
---|---|---|
반영점수(비율) | 100% | 100점 |
이수기준 | 98% | 합산점수 98점 이상 |
※ 각 평가항목의 이수기준을 충족하여야 합니다.
차시 | 강의명 |
---|---|
1차시 | 진로초기 백지상태 출발 |
2차시 | 자신을 살피는 방법론 |
3차시 | 직업 매칭 정교성 구체화 |
4차시 | 진로 변천 공통요인 도출 |
5차시 | 진로심리검사 가능성,한계 |
6차시 | 진로검사 다양성 가이드 |
7차시 | 임금정보 해석하는 방법 |
8차시 | 장점과 단점 비교 접근 |
9차시 | 선택에 필요한 근거 확보 |
10차시 | 설득에 필요한 근거 확보 |
11차시 | 단기적 장기적 노력 구분 |
12차시 | 직업에 대한 선입견 극복 |
13차시 | 목표의 내적 외적 근거 |
14차시 | 작은 목표부터 성취경험 |
15차시 | 문제의 원인 근본적 해결 |
16차시 | 미래직업 해석의 방법 |
17차시 | 부를 축적하는 방법 조정 |
18차시 | 유튜버들의 생생한 조언 |